스프링은
web.xml
-> Dispatcher-Servlet
-> handlr/mapping & Controller
-> Model
-> Dispatcher-Servlet
-> view Resorver & view
보통은 위의 단계로 서비스 된다.
서비스로 구조를 만들었으면 implement 에서는 서비스(@Service)를 묶어야 하는데
나는 impl 에다 '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Service'를 import 시키지 않았었다.
그러니 느낌표가 뜰수밖에..
그런데 귀찮다고 자세히 보지도 않고 ctrl + 1(quick Fix)를 해서 대충 경고 안뜨는 걸로 바꿔버렸더니 이클립스가
@Service를 지워버리고 대신 @Resource를 심어버렸다. 미친--;;
보면 알겠지만 네모칸으로 처리한 부분을 보면 색이 좀 틔미하다..
그리고 설마 그게 잘못됐을 거라고는 상상도 못하고 있었으니까..
나는 지금 뭐한건가.. import 시키고 @Resource 를 @Service로 바꾸고 나니 콘솔창의 그 많던 에러메시지가
하나도 남김없이 사라졌다..
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' XXXController': Injection of resource dependencies failed..
이 메시지를 보면서도 난 뭘 느낀거지..
쓸데없이 메소드와 .do 패스나 건들고 이름이나 바꿔보고..
괜히 Dispatcher-Servlet 에서 UrlBasedViewResolver 를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로 바꿔서 세팅도 해보고..
prop나 주물럭 거렸었다.
'開發日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컬럼별으로 묶어서 카운트.. (0) | 2012.05.30 |
---|---|
정부표준프레임워크.. (0) | 2012.05.23 |
flex.. (0) | 2011.03.03 |